'OSI 7계층'이란?
네트워크 통신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으로 모든 시스템들의 상호 연결에 문제가 없도록 표준으로 정한 것으로
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의 흐름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고, 계층이 나누어져있어 해당 계층만 건들 수 있어 유지보수가 좋은 장점이 있다.
최하위인 물리계층부터 데이터링크→네트워크→전송→세션→표현→응용 계층까지 있습니다.
물리 계층 : 물리적인 장치를 연결하고, 데이터를 전기적, 기계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데이터를 송수신 (비트)
데이터 링크 계층 : 물리적인 연결을 통하여 인접한 두 장치 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담당하고 물리계층에서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 (데이터 단위 : 프레임 mac주소)
네트워트 계층 : 목적지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위해 ip주소를 이용해서 길을 찾아 데이터(패킷)를 전달해줌
전송 계층 :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계층으로 port를 열어 응용 프로세스들이 데이터를 전송을 할 수 있게 함 (세그먼트)
세션 계층 :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통신 장치 간 연결 유지함 (tcp / ip 세션 체결)
표현 계층 : 코드 간 번역을 담당하며 인코딩이나 암호화 등의 동작이 일어나는 데이터 번역자로서의 역할
응용 계층 :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련되며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고 http 프로토콜은 여기서 request와 response를 주고 받음
👇 참고하면 좋을 이미지들
👇 참고하면 좋을 링크
https://brownbears.tistory.com/189
OSI 7계층
OSI 7계층이란? OSI 모형은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개발한 모델로,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입니다. 각 계층의 캡슐화와 디캡슐화 OSI 7계층에서 데이터
brownbears.tistory.com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isHttpsRedirect=true&blogId=cowboy2238&logNo=140150616332
OSI 7 Layer [OSI 7 계층]
OSI 7 Layer - 국제 표준 기관 ISO가 개방형 통신을 할 수 있게 만든 모델이 OSI 7 Layer이다. ...
blog.naver.com
'STUDY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-way handshake (0) | 2022.09.21 |
---|---|
HTTP와 HTTPS를 차이점 (0) | 2022.09.21 |
TODO 0901 (0) | 2022.09.01 |
트랜잭션 transaction & ACID (0) | 2022.08.25 |
CS간단정리 50문답(41~52) (0) | 2022.07.27 |